분류 전체보기17 집중력 향상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식단 https://daylightsalt.com/18 자율신경과 체내시계를 재설정하기지난번 글에서는 뛰어난 의사가 하루를 보내는 힘의 원동력이 집중력이라는 것과 집중력의 조건(집중저해인자와 집중촉진인자)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봤다. https://daylightsalt.com/17 뛰어난daylightsalt.com 의학 박사이기도 한 저자 나구모 요시노리는 한국의 SBS 스페셜의 "끼니 반란"이라는 다큐멘터리에도 출연했다.그 영상에는 저자가 저녁에 직접 조리하고 식사를 하는 모습이 담겼다. 식단의 구성은 이러하다. ① 생선(또는 계란으로 대체)② 시금치 무침③ 미소 된장국④ 현미밥(작은 새우, 잔 멸치, 다시마, 매실 장아찌로 만든 주먹밥) 정어리, 전갱이, 꽁치, 빙어 등 작은 물고기(작은 새우나 오.. 2025. 4. 2. 자율신경과 체내시계를 재설정하기 지난번 글에서는 뛰어난 의사가 하루를 보내는 힘의 원동력이 집중력이라는 것과 집중력의 조건(집중저해인자와 집중촉진인자)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봤다. https://daylightsalt.com/17 뛰어난 의사가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보기집중력이 크게 떨어졌다. 그러면 안 된다고 생각하면서도 계획했던 일을 미루는 일이 잦아졌다.요즘의 내 생활을 객관적인 시선에서 바라보면 인생을 충실히 살아가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다daylightsalt.com 아침형 인간으로 변화하고 그로 인해 얻은 새벽의 시간으로 보다 충실한 인생을 살아보고 싶은 마음은 충분하다.그러나 밤에 활동하는 습관이 자리하고 있다.따라서 아침형 인간으로의 변화가 다소 도전적으로 느껴진다. 다행스러운 건 우리의 몸을 제어하는 자율신경을 아침.. 2025. 4. 1. 뛰어난 의사가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보기 집중력이 크게 떨어졌다. 그러면 안 된다고 생각하면서도 계획했던 일을 미루는 일이 잦아졌다.요즘의 내 생활을 객관적인 시선에서 바라보면 인생을 충실히 살아가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다행스러운 일은 반성할 수 있는 시간이 있고 다시 일어서서 인생이라는 무대에 다시금 일어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내게는 도움이 되는 책들이 있다. 이번에 읽어본 책은 나구모 요시노리라는 일본의 의사가 쓴 책으로 『오후의 집중력』라는 제목의 책이다. 저자는 일본의 유명한 의사이면서 작가이고 강연자이다.이처럼 그는 세 가지 직업을 가지고 있음에도 전부 성공적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그 힘의 원천은 집중력에 있다고 한다.게다가 그는 환갑이 넘은 나이이지만 열정과 꿈을 가지고 왕성하고 활동하고 있다. 그럼 무엇으로 견고한 집중력을.. 2025. 3. 31. 서사 속 등장인물에 대한 사색 등장인물은 현실의 우리와 같이 시간 속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닮았다. 그리고 그 시간이라는 것을 다루는 서사와 그 서사로 이루어진 작품들을 만들어내는 것은 적어도 지금까지 밝혀진 사실에 의하면 우리 인간만이 가능하다. 등장인물은 행위보다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어떤 사건이 있고 그 사건에서 벌어지는 행위들의 연속은 다소 난해한 작품이라고 하더라도 분석이 가능하다. A에서 B로 이동하고 B에서 C로 이동하는 등의 행위와 행위의 원인과 결과는 주의를 기울여서 작품을 읽다보면 충분히 독해가 가능하다. 그러나 등장인물의 내면을 파악하는 것은 등장인물이 텍스트라는 기호 상에서 나타낸 의도를 헤아려야 하는데 그 정보가 한정적이고, 더읽기와 덜읽기의 발생 가능성도 있으므로 행위의 파악보다 무척 어려운 일이다. 그리고 .. 2025. 3. 5. 스티븐 킹의 중편소설 「미스트」로 보는 매체 간 각색 스티븐 킹의 중편소설 「미스트」는 동명의 제목으로 영화와 드라마로 각색됐다. 8장은 매체 간 각색을 다루고 있어서 한 번쯤은 보고 싶었던 작품인 「미스트」를 책과 영화로 보았다. 황금가지에서 출판된 스티븐 킹의 단편집 『스켈레톤 크루』의 상권에 「미스트」가 실렸다. 「미스트」는 1980년에 최초로 공포 소설 앤솔로지 『다크 포시즈』에서 공개한 작품으로 1985년에 스티븐 킹의 앞에서 언급한 단편집에 실렸다. 동명의 영화는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 토마스 제인과 마샤 게이하든 주연으로 2008년에 개봉했다. 원작 소설과 영화 우선 이 중편소설의 영화 각색은 변형하기(영화 이론가 더들리 앤드루의 분류)에 해당한다. 원작을 충실하게 재현하면서도 영화라는 매체의 힘을 최대한 활용하여 전면적인 변형을 시도했다. .. 2025. 2. 3. 서사학으로 레이먼드 카버의 「칸막이 객실」 읽기: 인생이 아픈 여행이자 회상이라면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소설집『대성당』은 소설가 김연수의 번역으로 문학동네에서 2007년에 출판됐다. 나는 이 단편소설집 2016년도 2판으로 가지고 있다. H.포터 애벗의『서사학 강의』의 8장 "서사 해석의 세 가지 방법"까지 이 블로그에 에세이 형식으로 정리했다. 천천히 읽는 과정에서 배움의 즐거움이 있었는데 지금까지 학습한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을 직접 읽고 해석을 해보려고 한다. 서사학으로 레이먼드 카버의「칸막이 객실」읽기 레이먼드 카버의「칸막이 객실」의 내포저자가 이 단편소설을 쓴 의도는 무엇일까? 인생의 아픔이라는 감수성과 3인칭의 목소리와 자유간접화법 먼저 서술자는 3인칭으로 마이어스라는 인물을 서술한다. 마이어스는 대학교에 다니는 아들을 만나기 위해 스트라스부르로 가고 있다. 그 아들과 마이어.. 2025. 1. 19. 이전 1 2 3 다음